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아르바이트는 왜 생겼을까?

by 김노말 2025. 2. 24.
728x90
반응형

 

"아르바이트(Arbeit)"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원래 뜻은 "노동" 또는 "일"을 의미합니다.

어원과 의미 변화

  1. 독일어: "Arbeit" → 노동, 일, 직업을 뜻함.
  2. 일본어: 일본에서 "아르바이트(アルバイト, arubaito)"라는 형태로 차용되며, "임시 일자리", "파트타임 노동"의 의미로 변형됨.
  3. 한국어: 일본어에서 차용하여 "단기적인 임시 노동" 또는 "파트타임 아르바이트"의 뜻으로 사용됨.

즉, 본래 독일어에서는 일반적인 "노동"을 의미했지만, 일본을 거치면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알바(파트타임 일)"의 뜻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

 

파트타임 일자리(아르바이트,알바)경제, 사회,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겨났어습니다. 주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산업 구조 변화

과거에는 대부분 정규직 중심의 고용 형태였지만, 산업이 발전하면서 서비스업, 유통업, 요식업 등 다양한 분야가 성장했고, 이 과정에서 짧은 시간만 일하는 파트타임 근무가 필요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 패스트푸드점, 카페, 편의점 같은 매장은 하루 종일 운영되지만, 특정 시간대에만 인력이 많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교대 근무(shift work) 형태로 일할 수 있는 파트타임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 백화점, 마트 등은 주말이나 연말연시에 손님이 많아지므로, 단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 파트타임 직원을 고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2. 기업의 인건비 절감 전략

기업 입장에서는 정규직 직원보다 파트타임 직원을 채용하는 것이 비용 절감에 유리합니다.

  • 정규직 직원을 고용하면 월급, 보험, 퇴직금 등을 지급해야 하지만,
  • 파트타임 직원은 근무한 시간만큼만 급여를 지급하면 되기 때문에,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경기 불황이 오면 기업들은 고정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규직보다 파트타임 근로자를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 3. 유연한 노동시장 수요 증가

현대 사회에서는 고정된 9 to 6(9시 출근, 6시 퇴근) 방식이 아닌, 유연한 근무 형태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 학생: 학업과 병행하며 돈을 벌기 위해
  • 주부: 가사와 육아를 병행하며 일하기 위해
  • 퇴직자: 정년 이후에도 일정 소득을 얻기 위해

이런 사람들에게 파트타임은 좋은 선택지가 되게 되었습니다.

📌 4. 노동법과 고용 형태 변화

과거에는 대부분의 직장이 정규직 중심이었지만, 노동법과 경제 구조가 바뀌면서 다양한 고용 형태가 생겨났습니다.

  • 프리랜서, 단기 계약직, 플랫폼 노동(배달, 택시 앱 등) 같은 새로운 일자리들이 등장하며, 파트타임도 더욱 확산 되었습니다.

📌 5. 글로벌화 & 외국의 영향

미국, 유럽 등에서는 오래전부터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개념이 일반적이었고,
이런 문화가 한국, 일본 등 아시아권에도 영향을 미쳐 시간제 근무 개념이 확산되었습니다.


🔎 정리하면?

📍 파트타임 일자리는 기업과 노동자의 필요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겨 났습니다.
✔ 기업 입장: 비용 절감 + 유연한 인력 운영
✔ 노동자 입장: 시간 조절 가능 + 추가 소득 창출

그래서 지금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파트타임 일자리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일본에서는 아르바이트(アルバイト, arubaito) 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꽤 많아요. 특히 프리터(フリーター, freeter) 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일본에서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들 (프리터 & 비정규직 노동자)

📌 프리터(freeter)란?

  • "프리(free, 자유)" + "아르바이터(arbeiter, 노동자)"의 합성어 입니다.
  • 정규직 취업을 하지 않고, 아르바이트(비정규직)로 생활하는 사람들을 의미 합니다.
  • 주로 2030대가 많지만, 최근에는 4050대까지 확산 되었습니다.

📌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

  • 일본은 비정규직 노동자(파트타임, 계약직 등) 비율이 매우 높은 편 입니다.
  • 2023년 기준, 일본 전체 노동자의 약 38%가 비정규직! (즉, 10명 중 4명) 입니다.
  • 특히 젊은 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40~50대)도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도 증가 했습니다.

📌 왜 일본에는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이 많을까요?

1️⃣ 장기적인 경기 침체 (잃어버린 30년)

  • 일본은 1990년대 버블 경제 붕괴 이후 경기 침체가 지속되었습니다.
  • 기업들이 정규직 채용을 줄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비정규직(아르바이트)을 선호 하게 되었습니다.

2️⃣ 고용 안정성이 낮아짐

  • 과거에는 평생직장 문화가 강했지만, 지금은 안정적인 정규직 취업이 어려워지게 되었습니다.
  • 기업들도 정규직보다는 단기 계약직이나 파트타임 직원을 더 많이 고용 했습니다.

3️⃣ 라이프스타일 변화

  • 일부 젊은층은 정규직보다 자유로운 아르바이트 생활을 선호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원치 않더라도 정규직 취업이 어려워서 프리터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고령화 사회 & 노동력 부족

  • 일본은 고령화가 심각해서 젊은 노동력이 부족 합니다.
  • 그래서 중·장년층까지도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늘어났습니다.

📌 일본 아르바이트 노동의 현실

장점
✅ 자유로운 근무 형태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일 가능)
✅ 여러 가지 일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단기적으로 돈을 벌기에는 괜찮습니다.

단점
❌ 정규직보다 낮은 임금 (평균 시급 1,000~1,200엔 수준) 입니다.
❌ 고용 안정성이 낮습니다. (해고 위험↑)
❌ 복지 혜택 부족 합니다.(건강보험, 연금 가입 어려움)
❌ 장기적으로 생활하기 어려습니다.


📌 결론: 일본에서는 아르바이트가 생계를 유지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불안정성이 큽니다!

💡 일본에서 아르바이트는 단순한 용돈벌이가 아니라, 생활비를 벌기 위한 생계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하지만 정규직보다 급여가 낮고, 고용 안정성이 떨어져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본 정부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정규직 처우 개선, 최저임금 인상, 정규직 전환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

728x90
반응형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벨기에 음식  (1) 2025.02.28
전기차  (1) 2025.02.24
금값은 왜 오를까?  (1) 2025.02.24
아몬드  (1) 2025.02.21
악마의 음료 커피와 수도원  (2) 2025.02.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