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애플

by 김노말 2025. 4. 4.
728x90
반응형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비롯한 주요 아시아 제조 허브에서의 수입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발표하면서, 애플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 오전 기사에서 애플은  상호관세로 하루만에 시총 4500조원 증발 했다. 1000조원 삭제 공포 빅테크 1조 달러 증발 등 한국경제 신문, 문화일보, 연합뉴스 등 기사가 나왔습니다. 미국과 아시아 국가 간의 상호 관세 논란에서, "미국 생산 제품만 관세 대상인가?"라는 점은 굉장히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애플에 대한 주요 영향:

  • 주가 하락: 이러한 관세 발표 이후, 애플의 주가는 9% 이상 하락하여 시가총액이 3조 3,600억 달러에서 3조 500억 달러로 감소했습니다.
  • 생산 비용 증가: 애플은 제품의 약 90%를 중국에서 제조하고 있어, 새로운 54%의 관세로 인해 생산 비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다각화 전략의 한계: 애플은 생산 기지를 인도와 베트남으로 일부 이전했지만, 이들 국가에서도 각각 26%와 46%의 관세가 부과되어 비용 절감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 이익 감소 전망: 일부 분석가들은 애플이 이러한 관세 비용을 모두 부담할 경우, 2025 회계연도 순이익이 최대 14%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애플은 제품 가격 인상, 생산지 추가 이전, 또는 비용 절감을 위한 전략적 조정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소비자 가격 상승이나 공급망 복잡성 증가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애플, 새로운 관세로 인한 주가 및 생산 비용 영향

 

🔍 결론부터 말하면:

❌ 미국 생산 제품만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 미국 브랜드라도, 생산지가 미국이 아닌 경우는 대부분 관세 대상이 됩니다.
👉 반대로, 중국·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미국 브랜드 제품상대국 입장에선 외국산으로 분류되어 관세를 매깁니다.


🇺🇸 미국 관세 부과 기준

미국이 다른 나라 제품에 관세 부과하는 경우

  • 기준은 “생산지(origin)”입니다.
  • 예: 아이폰이 미국 브랜드지만 중국에서 생산되었다면, 중국산으로 간주되어 중국 관세 부과 대상입니다.

상대국이 미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 미국에서 제조된 제품이 주요 대상
  • 예: 미국에서 생산된 반도체, 전기차(테슬라 미국 공장 생산분) 등에 중국, 인도 등이 보복관세 부과

📦 예시로 보면 더 명확해요

제품 브랜드 생산지 관세 대상 여부 (중국 기준)

아이폰 15 애플 중국 폭스콘 관세 부과 대상 (중국산)
테슬라 모델 3 테슬라 미국 캘리포니아 보복 관세 대상
나이키 신발 나이키 베트남 공장 미국산 아님 → 비관세 가능

 

💡 요약 정리

  • 브랜드 국적보다 실제 생산 국가가 관세 부과의 핵심입니다.
  • 미국이든 한국이든 “어디서 만들었느냐”가 중요합니다.
  • 미국 생산 제품만 관세 대상이 되는 건 아닙니다.
  • 국가 간 무역 보복이 심화될수록, 이런 공장 위치(서플라이 체인)가 매우 전략적이 됩니다.

애플 제품은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생산되지만, 주요 생산 거점은 중국이며, 최근에는 인도, 베트남, 미국 등으로 생산지를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 애플 제품별 주요 생산 국가

제품 주요 생산국

아이폰 (iPhone) 🇨🇳 중국 (폭스콘, 페가트론, 럭스쉐어)🇮🇳 인도 (폭스콘, 위스트론)
아이패드 (iPad) 🇨🇳 중국 (폭스콘, 컴팔, BYD)
맥북 (MacBook) 🇨🇳 중국 (콴타, 폭스콘)
애플 워치 (Apple Watch) 🇨🇳 중국 (럭스쉐어, 폭스콘)
에어팟 (AirPods) 🇨🇳 중국 (고어텍, 럭스쉐어) 🇻🇳 베트남 (고어텍, 럭스쉐어)
맥 프로 (Mac Pro) 🇺🇸 미국 (텍사스 공장, 리미티드 모델만 생산)

🌏 애플의 생산 다변화 전략

📌 중국 (Apple의 핵심 생산기지 🇨🇳)

  •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대부분의 제품이 중국에서 생산됨
  • 폭스콘(Foxconn), 페가트론(Pegatron), 럭스쉐어(Luxshare) 등이 주력 생산업체

📌 인도 (아이폰 생산 확장 🇮🇳)

  • 아이폰 12~15 일부 모델인도(폭스콘, 위스트론)에서 생산
  • 2025년까지 전체 아이폰의 25%를 인도에서 생산 목표
  • 인도 정부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으로 생산 공장 증가

📌 베트남 (에어팟 & 애플워치 중심 🇻🇳)

  • 에어팟, 애플워치 일부 모델, 맥북 생산
  •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애플의 생산 기지 다변화 전략

📌 미국 (일부 고급형 제품 생산 🇺🇸)

  • 맥 프로 (Mac Pro) 일부 모델만 텍사스 공장에서 생산
  • 하지만 미국 내 생산 비중은 여전히 낮음

🔥 애플이 생산지를 다변화하는 이유?

1️⃣ 미·중 무역전쟁 & 관세 부담 → 중국 생산 의존도 낮추기
2️⃣ 공급망 리스크 관리 → 코로나19 때 중국 락다운으로 공장 운영 중단 경험
3️⃣ 정부 지원 활용 → 인도 & 베트남의 세금 혜택 및 제조 유치 정책


💡 결론:
👉 아이폰은 여전히 중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지만, 인도로 점점 이동 중입니다.
👉 에어팟 & 애플워치는 베트남 생산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맥 프로만 미국 생산, 하지만 대부분 제품은 아시아에서 제작 합니다.

 

애플이 직면하고 있는 상호 관세 문제는 최근의 미국-중국 및 인도 등과의 무역 긴장에서 중심에 있는 이슈 중 하나입니다. 애플은 글로벌 생산과 판매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 관세를 매기느냐에 따라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 애플의 상호관세 이슈 요약

구분 내용

주요 이슈 미국과 아시아 제조국(중국, 인도 등) 간 상호 관세 부과로 애플의 글로벌 공급망에 비용 압박
애플 제품 특성 미국 브랜드지만 대부분 제품은 중국, 인도, 베트남 등지에서 생산
문제 핵심 미국이 중국 등에서 제조된 애플 제품에 관세 부과 → 상대국이 미국산 또는 미국 브랜드 제품에 보복 관세 부과

🇺🇸 미국 → 중국/아시아: 관세 부과 (예시)

  • 배경: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자제품"에 최대 25% 관세 부과
  • 영향: 아이폰·에어팟 등 중국산 애플 제품이 미국 내에서 더 비싸질 수 있습니다.
  • 애플 대응: 생산지 일부를 인도, 베트남 등으로 이동 중

🇨🇳 중국 or 🇮🇳 인도 → 미국: 보복 관세

  • 중국/인도가 미국산 제품 또는 미국 브랜드에 보복 관세 부과
  • 중국은 자국 내 생산된 아이폰에 미국산 부품이 들어간다고 보고 미국산 부품에도 규제 가능
  • 인도는 2025년 "애플 제품이 미국 브랜드이기 때문에 관세 부과" 가능성 언급

📉 상호 관세로 인한 애플 타격

항목 영향

생산 비용 증가 관세로 인해 부품 수입/완제품 수출 비용 증가
판매 가격 인상 압박 소비자에게 부담 전가될 수 있음
이익 감소 분석에 따르면 관세 영향으로 2025년 순이익 최대 14% 하락 가능
주가 영향 관세 뉴스 직후 애플 주가 약 9% 하락, 시가총액 수천억 달러 증발

🧠 애플의 대응 전략

  1. 공급망 다변화: 인도·베트남 생산 확대
  2. 현지 생산 확대: 일부 국가에서는 현지 생산으로 관세 회피
  3. 정치적 로비: 미국 정부와의 협의로 관세 제외 요청 (실제로 몇 차례 성공)
  4. 일부 가격 인상: 고급 제품군에 한해 소비자 가격 일부 반영

🔍 핵심 포인트 정리

  • 애플은 미국 브랜드지만 생산은 아시아에 집중 → 관세 영향 직접적
  • 상호 관세가 확대되면 글로벌 판매와 수익성 모두 타격
  • 공급망을 다변화하며 대응 중이지만 단기간 내 완전 해결은 어려움

 

 

728x90
반응형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변화  (0) 2025.04.05
파면  (1) 2025.04.05
스위치2  (0) 2025.04.03
상호관세  (0) 2025.04.03
편도체  (0) 2025.03.24

댓글